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09)
경성, 경기에서 3천 리는 경상·전라·평안·함길도 안에서 30식 밖에 있는 경성(京城)·유후사(留後司)·경기(京畿)에서는, 3천 리는 경상·전라·평안· 함길도 안에서 30식(息) 밖에 있는 해변의 여러 고을... 세종실록 50권, 세종 12년 윤12월 11일 정미 2번째기사 1430년 명 선덕(宣德) 5년 http://sillok.history.go.kr/id/kda_11212111_002
고종 17년 개성에서는 일식 관측이 불가능했다 고려 고종高宗 17년 1230년 음력 4월 1일 일식이 일어나다 高宗 17年 1230년 음력 4월 1일 일식이 일어나다 고려사 > 卷二十二 > 世家 卷第二十二 > 高宗 17年 > 4월 > 일식이 일어나다 1230년 4월 1일(음) 임술(壬戌) , 1230년 5월 14일(양) https://db.history.go.kr/KOREA/item/level.do?itemId=kr&types=r#detail-kingYear/kr_022r_0190_0050_0010/23/1230/04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db.history.go.kr 일식이 일어나다 여름 4월 임술 초하루 일식이 일어났다. 夏四月 壬戌朔 日食. 나사(NASA) 일식 월식 사이트 NASA Eclipse Web Site https://ecli..
해운대에 있어야 할 두충과 청백색 반석 해운대에 있어야 할 두충과 청백색 반석 조선왕조실록 검색어 해운대 세종실록 150권, 지리지 경상도 경주부 동래현 지리지 / 경상도 / 경주부 / 동래현 http://naver.me/Ig8C4i44 조선왕조실록 ◎ 東萊縣: 判縣事一人, 本居漆山郡。 景德王改今名, 顯宗戊午, 屬蔚州任內, 後置縣令。 本朝太祖六年丁丑, 始置兵馬使兼判縣事, 今上五年癸卯, 改稱僉節制使。 【四品則稱同僉節制使。】 屬 sillok.history.go.kr 동래현(東萊縣) 판현사(判縣事) 1인. 본디 거칠산군(居漆山郡)인데, 경덕왕이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고려〉 현종 무오년에 울주(蔚州) 임내(任內)에 붙였다가, 뒤에 현령(縣令)을 두었는데, 본조 태조 6년 정축에 비로소 병마사 겸 판현사(兵馬使兼判縣事)를 두었다가, 금상(今上) ..
고종 15년 개성에서는 일식이 일어나지 않았다 고려 고종(高宗) 15年 1228년 음력 12월 1일 일식이 일어나다 고려사 > 卷二十二 > 世家 卷第二十二 > 高宗 15年 > 12월 > 일식이 일어나다 1228년 12월 1일(음) 경자(庚子), 1228년 12월 28일(양) https://db.history.go.kr/KOREA/item/level.do?itemId=kr&types=r#detail-kingYear/kr_022r_0170_0120_0010/23/1228/12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db.history.go.kr 일식이 일어나다 十二月 庚子朔 日食. 12월 경자 초하루 일식이 일어났다. 나사(NASA) 일식 월식 사이트 NASA Eclipse Web Site https://eclipse.gsfc.nasa.gov/solar.html
공민왕 10년 개기일식이 일어나다 공민왕(恭愍王) 10년, 1361년 음력 4월 1일=양력 1361년 5월 5일 개기일식이 일어나다 고려사 > 卷三十九 > 世家 卷第三十九 > 恭愍王 10年 > 4월 > 개기일식이 일어나다 1361년 4월 1일(음) 신사(辛巳) , 1361년 5월 5일(양) https://db.history.go.kr/KOREA/item/level.do?itemId=kr&types=r#detail-kingYear/kr_039r_0060_0040_0010/33/1361/04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db.history.go.kr 개기일식이 일어나다 夏四月 辛巳朔 日食旣. 여름 4월 신사 초하루 개기일식이 있었다. 나사(NASA) 일식 월식 사이트 NASA Eclipse Web Site https://eclipse.gs..
북정 일정을 통지하다 경기(京畿)의 남양(南陽)·수원(水原)·양성(陽城)·진위(振威)·용인(龍仁)·안산(安山)·음죽(陰竹)·여주(驪州)·이천(利川)·지평(砥平)·양근(楊根)·가평(加平)·영평(永平)·포천(抱川)·양주(楊州)·광주(廣州)·과천(果川)·금천(衿川)·죽산(竹山)·양지(陽智)·마전(麻田)·연천(漣川)·인천(仁川) 등의 고을의 군사는 9월 초2일에 길을 떠나서 같은 달 24일에 길성(吉城)에 도착하도록 하고... 성종실록 255권, 성종 22년 7월 4일 무인 2번째기사 1491년 명 홍치(弘治) 4년 http://sillok.history.go.kr/id/kia_12207004_002 조선왕조실록 ○敎開城府留守柳洵、京畿觀察使金悌臣、江原道觀察使金礪石、忠淸道觀察使洪興、兵馬節度使曺淑沂、全羅道觀察使金克儉、兵馬節度使辛鑄、慶尙..
대마도의 서쪽에 있는 사수나포沙愁那浦에 도착하였는데 5월 초2일 평명(平明)에 신이 왜 중추(倭中樞) 평무속(平茂續)·첨지(僉知) 피고여문(皮古汝文)·호군(護軍) 원무기(源茂崎)·특송(特送) 조국차(助國次)와 지세포(知世浦)를 출발하여 유시(酉時)에 대마도의 서쪽에 있는 사수나포(沙愁那浦)에 도착하였는데, 거주하는 왜인이 배를 타고 나와서 영접하였습니다. 초5일 진시(辰時)에 신이 도주가 특송(特送)한 석야장견(蓆野將堅) 등과 사연나포(沙然那浦)를 출발하여 신시(申時)에 부산포(釜山浦)에 도착하였습니다. 성종실록 69권, 성종 7년 7월 26일 정묘 5번째기사 1476년 명 성화(成化) 12년 http://sillok.history.go.kr/id/kia_10707026_005 조선왕조실록 성종실록 69권, 성종 7년 7월 26일 정묘 5번째기사 1476..
이 성의 이름을 화성華城이라고 하였는데 이 성의 이름을 화성華城이라고 하였는데, 남북을 조금 길게 하여 마치 버들잎 모양처럼 만들면... 정조실록 39권, 정조 18년 1월 15일 계묘 1번째기사 1794년 청 건륭(乾隆) 59년 http://sillok.history.go.kr/id/kva_11801015_001
경성에서 부산-서생포에이르는 길 매우 많습니다 경성에서 부산-서생포에이르는 길 매우 많습니다... 선조실록 89권, 선조 30년 6월 10일 기사 2번째기사 1597년 명 만력(萬曆) 25년 http://sillok.history.go.kr/id/kna_13006010_002 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89권, 선조 30년 6월 10일 기사 2번째기사 1597년 명 만력(萬曆) 25년 조선 각 지역의 근황과 왜적의 정세에 대해 마 도독에게 보낸 자문 sillok.history.go.kr 조선 각 지역의 근황과 왜적의 정세에 대해 마 도독에게 보낸 자문 흠차 비왜 총병관 후군 도독부 도독 동지(欽差備倭總兵官後軍都督府都督同知) 마(麻)196) 에게 회자(回咨)하였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는 경성(京城)에서 부산(釜山)·서생포(西生浦)에 이르는..
군자와 소인의 구분은 오직 의(義)와 이(利) 이 두 가지 길이 있을 뿐입니다 군자와 소인의 구분은 오직 의(義)와 이(利) 이 두 가지 길이 있을 뿐입니다 "선조수정실록 21권, 선조 20년 3월 1일 경인 1번째기사 1587년 명 만력(萬曆) 15년 http://sillok.history.go.kr/id/knb_12003001_001 조선왕조실록 선조수정실록 21권, 선조 20년 3월 1일 경인 1번째기사 1587년 명 만력(萬曆) 15년 성균 진사 조광현·이귀 등이 스승 이이가 무함당한 정상을 논한 상소문 sillok.history.go.kr 성균 진사 조광현·이귀 등이 스승 이이가 무함당한 정상을 논한 상소문 성균 진사 조광현(趙光玹)·이귀(李貴) 등이 상소하여, 스승 이이(李珥)가 시배(時輩)들에게 무함(誣陷)당한 정상을 극력 논하였는데, 모두 수만언(數萬言)이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