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09)
향가와 만엽집은 어떻게 해독되었나 향가와 만엽집은 어떻게 해독되었나  148편 향가와 만엽집은 어떻게 해독되었나 1부. https://www.youtube.com/watch?v=E8L-UnVWVNM    우리 민족이 가진 언어적 재능의 정화라고 할 향가가 어떻게 해독되었는지 그 과정을 밝힌다.수많은 도전자들의 거룩한 분노와 불굴의 도전, 그리고 좌절과 탄식 끝에 향가는 해독될 수 있었다.이집트 그림 문자 해독보다 훨씬 더 지난했던향가 해독의 역사가 대하드라마 처럼 펼쳐진다.   일본 기자 기절초풍여종의 시작향가와 만엽집은 어떻게 해독되었나?     이집트 그림문자 체계 최종 결론그림문자=뜻글자+소리글자   오쿠라 신페이의 가설일본인 오쿠라 신페이뜻글자+소리글자 가설   뜻글자로 보자향가의 한자를뜻글자로 보자   소름 끼치는 글자들누구의 ..
신라의 왕명 신라의 왕명         신라 금관 황남대총,천마총https://blog.naver.com/pkwon88/223219680087 신라 금관 황남대총,천마총0https://youtube.com/watch?v=fo4P9skOb-M&si=zA-hstxgQPcWwYcD 서봉총, 금령총...blog.naver.com    신라의 왕명   거서간(居西干)居=법도 거西=깃들이다 서干=등뼈 간, 칸, 왕 법도를 깃들이는 등뼈, 법도를 깃들이는 칸    거슬한(居瑟邯)居=법도 거瑟=엄숙할 슬邯=땅이름 한, 칸 법도에 엄숙한 군주    마립간 麻=조칙, 조서 마立=세우다 립干=등뼈 간, 칸, 왕 조칙을 세우는 등뼈!조칙을 세우는 칸!    이사금(尼師今)尼=화평하다, 안정되다, 가깝다 니 師=스승, 벼슬, 모범으로 삼다..
한국과 일본 향가 해독 백년전쟁 한국과 일본 향가 해독 백년전쟁  81편 한국과 일본 향가해독 백년전쟁1부 https://www.youtube.com/watch?v=cipCbnHKqco    백년전쟁의 승패를 가른 것은 뜻발의 법칙과 일타쌍피 글자였다.향가가 해독되고나자 드러난 사실, 일본인들은 자신들이 자기 나라 역사를 해독할 수 없다는 무서운 사실을 알게 되었다. 자신들이 역사의 외나무 다리 앞에 서있다는 사실을 비로소 알게 된 일본.그들은 어떻게 이 난국을 극복할까.   김영회 Profileㆍ 어려서 한문서당 영사재 사숙ㆍ 서울고등학교, 서울대 졸ㆍ 동국대 세계불교학 연구소향가 만엽집 연구실장        이집트 그림문자 체계 최종 결론 그림문자=뜻글자+소리글자   오쿠라 신페이의 가설 일본인 오쿠라 신페이뜻글자+소리글자라는 가설..
고대 일본 천황이 한국어를 사용하고 있다 고대 일본 천황이 한국어를 사용하고 있다   38편 고대 일본 천황이 한국어를 사용하고 있다. 만엽집 20-21번가 https://www.youtube.com/watch?v=NInaC7p5Jc8    본 강의에서는 다음 1~4번 사항에 대해 움직일 수 없는 증거가 제시된다 1.만엽집은 한국어로 되어 있다.2.일본 천무천황과 액전왕은 충청도 전라도 지방의 언어를 쓰고 있었다.3.액전왕은 천지천황과 천무천황을 사랑했었다. 삼각관계 풍문이 맞았다.4.액전왕은 고대 일본 최대의 난인 '임신의 난'에 직접 개입했다.5.향가에는 '뜻발의 법칙'이 있다.6.한글날 특집 예고, 향가 읽는 법   충격 증거!고대 일본 천황 한국어 사용만엽집은 한국어로 된 책일본교과서 만엽집도 틀렸다김영회의 향가 만엽집 강의  즉위오미(..
일본의 초기 역사는 한국사다 일본의 초기 역사는 한국사다   67편 고사기 1번가. 일본의 초기 역사는 한국사다. https://www.youtube.com/watch?v=3sq92M4iM1U   일본의 가장 오래된 역사서 고사기에 향가가 112곡이 수록되어있다. 그 중 1번가는 가야 고천원에서 거주하던 속수좌지남명이라는 지도자가 만든 노래다.그는 살던 곳에서 쫓겨나 신라의 증시무리라는 곳으로 갔으나 신라가 그의 정착을 가로막았다.동해바다를 건너 일본 열도에 가 갖가지 모험을 하게 된다.열도에서 화산폭발을 막기 위해 만든 노래가 고사기 1번가이다.  1부일본의 역사는 한국사다.매우 민감한 이야기신라가 막아섰다   고사기에 향가가 있다일본 역사책고사기에향가 112곡 노래 수록 일본인들의 1번가 풀이 맑은 구름이 피어오르는 이즈모 땅에..
일본 가장 오래된 호류지 12글자는 향가였다 일본 가장 오래된 호류지 12글자는 향가였다      58편 일본 학계가 왜 이래? 왜 쇼토쿠 태자를 역사에서 지우려 하나. https://www.youtube.com/watch?v=EVbTIvbtl9Q     재기발랄 대한민국의 향가 연구가와 한 스님이 의기투합해 일본 호류지에서 발견된 1400년전의 그림과 글의 정체를 밝혀간다.그들은한일고대사가 위기에 처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일본 고대유물을 놓고 벌이는 한국판 인디아나 존즈 이야기.일본 학계의 수상쩍은 행동은 무엇을 노리고 있을까?   호류지 향가 발견1부한국판 인디아나 존즈일본의 집단음모를 깨라향가연구가와 스님의 모험   수상쩍은 움직임일본 학계의 수상쩍은 움직임집단 음모?쇼토쿠 태자를 지우면 한반도 문화전파를 지운다 고대 한국문화를 받아들인..
세기의 발견, 만엽집은 향가였다 세기의 발견, 만엽집은 향가였다   151편 세기의 발견, 만엽집은 향가였다. 판도라의 상자가 열린다. https://www.youtube.com/watch?v=rPUTjL0ieAY    도쿄 소재 일본 통일일보에서특종 보도가 터졌다.향가제작법을 세기의 발견이라 했고일본 만엽집이 향가라는 사실을 보도했다.기사 내용은 무엇인가.판도라의 상자가 마침내 열렸다.      157편 [김영회의 만엽집 이야기 1회] 한국인 사상 최초 일본신문 만엽집 연재. 액전왕(額田王) 작 만엽집 20번가. https://www.youtube.com/watch?v=VKb2jRQ8yK0  일본 통일일보에 '김영회의 만엽집 이야기'를 게재한다.일본의 향가와 만엽집 풀이를 수용하던한국에서 우리가 만든 도구로 만엽집을 풀이하게 되었다...
아리랑의 뜻을 아시나요 아리랑의 뜻을 아시나요  190편 아리랑의 뜻을 아시나요, 통합 1부. 김영회TV https://www.youtube.com/watch?v=CtabzVOSM3o    아리랑의 기원은 수수께끼에 싸여있다.드디어 풀리는 아리랑의 비밀.  아리랑마저 향가였다신라를 건국한 왕박혁거세에 바치는눈물가  뜻 모르는 말들아리랑이나쾌지나칭칭 등입에서 입으로 전해온 말  아리랑쾌지나 칭칭나네강강수월래얄리얄리 얄라성얄라리 얄라일사불란하게뜻을 모른다고려 이전유행했던노래짓기 방법  향가가장 오래된노래  향가제작법으로향가의 성격을밝혔다향가는 고조선에뿌리를 둔민족의 노래   향가 짓는 법을뜻 모르는 노래에 대입향가와 옛노래 사이무슨 관련?고대 민족문화 추적의최신병기  추적에동참해달라집단지성을모아아리랑 등민족 노래의뜻을 찾자   아..
진성여왕 판니가(判尼歌) 진성여왕 판니가(判尼歌)        향가가 말하는 신라망국2. 판니가, 신라망국을 부른 노래 https://www.youtube.com/watch?v=-Xe9EGdrkoM     진성여왕 판니가(判尼歌)  南無亡國刹尼那 帝 判尼 判尼 蘇 判尼 于于 三阿干 鳧 伊娑婆訶    진성여왕 판니가(判尼歌) 김영회 최초 해석 나무  (지극히 의지하나이다) 망해가는 나라 정의 여승이 되리어찌하리요여왕은 쫓겨나 여승이 되리쫓겨나 여승이 되리 쫓겨나 여승이 되어 땔나무나 하리쫓겨나 여승이 되리아아세 개의 언덕에 도적들이 방패를 들고 오리 떼처럼 모여 드는구나그대는 쫓겨나 여승이 되리 사바하(원만하게 성취되게 하소서).
일본 황실 제사 축문 일본 황실 제사 축문   일본 황실 제사 축문(통합본) https://www.youtube.com/watch?v=xYg_9ZeMkaI      일본 황실 제사 축문 향가칼럼,일본 황실의 제사 축문과 이어달리기​어느 교수님께서 나에게 권유하셨다."일본 천황가에서 매년 지내고 있는 제사의 축문이 한국어로 되어 있다 하니 검토하시기를."​문헌사학자인 홍윤기(78) 석좌교수님의 연구에 대한 이야기였다. 사정상 그 말씀을 즉각 이행하지 못하였고, 근자에 들어서야 검토 작업에 착수했다.​지난 몇십년 동안 우리의 일본 연구자들은 일본에 남아 있는 여러 문건들을 해독하면서 그 문자들을 고대 한국어 발음을 표기한 글자로 보아왔다.이번 축문도 마찬가지였다. 축문의 끝단락에 나오는 '아지녀(阿支女)'를 '아지메'라 읽고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