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09)
철종 12년 경복궁에서는 일식을 볼 수 없었다 철종 12년 1861년 음력 12월 1일 일식(日食)이 있었다 철종실록 13권, 철종 12년 12월 1일 갑인 1번째기사 1861년 청 함풍(咸豊) 11년 http://sillok.history.go.kr/id/kya_11212001_001 조선왕조실록 철종실록 13권, 철종 12년 12월 1일 갑인 1번째기사 1861년 청 함풍(咸豊) 11년 일식하다 sillok.history.go.kr 일식하다 일식(日食)이 있었다. 【태백산사고본】 7책 13권 11장 B면【국편영인본】 48책 647면 【분류】 과학(科學) 음양력변환계산 https://astro.kasi.re.kr/life/pageView/8 음양력변환계산 | 생활천문관 | 천문우주지식정보 양력 날짜를 입력하여 대응하는 음력 날짜 확인 ※ 입력범위 ..
철종 4년 경복궁에서는 일식을 볼 수 없었다 철종 4년 1853년 음력 11월 1일 일식(日食)하였다. 철종실록 5권, 철종 4년 11월 1일 임인 1번째기사 1853년 청 함풍(咸豊) 3년 http://sillok.history.go.kr/id/kya_10411001_001 조선왕조실록 철종실록 5권, 철종 4년 11월 1일 임인 1번째기사 1853년 청 함풍(咸豊) 3년 일식하다 sillok.history.go.kr 일식하다 일식(日食)하였다. 【태백산사고본】 3책 5권 9장 A면【국편영인본】 48책 584면 【분류】 과학(科學) 음양력변환계산 https://astro.kasi.re.kr/life/pageView/8 음양력변환계산 | 생활천문관 | 천문우주지식정보 양력 날짜를 입력하여 대응하는 음력 날짜 확인 ※ 입력범위 : -59년 02월 1..
철종 3년 경복궁에서는 부분일식을 볼 수 없었다 철종 3년 1852년 음력 11월 1일 일식하다 철종실록 4권, 철종 3년 11월 1일 정미 1번째기사1852년 청 함풍(咸豊) 2년 http://sillok.history.go.kr/id/kya_10311001_001 조선왕조실록철종실록 4권, 철종 3년 11월 1일 정미 1번째기사 1852년 청 함풍(咸豊) 2년 일식하다sillok.history.go.kr 일식하다 일식(日食)이 있었다. 【태백산사고본】 3책 4권 10장 B면【국편영인본】 48책 578면【분류】 과학(科學)   음양력변환계산 https://astro.kasi.re.kr/life/pageView/8 ※ 1582년 로마 교황 그레고리우스 13세는 율리우스력을 그레고리력으로 개정함에 따라 (율리우스" data-og-host="astro.k..
철종 2년 경복궁에서는 일식을 볼 수 없었다 철종 2년 1851년 음력 7월 1일 일식하다 철종실록 3권, 철종 2년 7월 1일 을유 1번째기사 1851년 청 함풍(咸豊) 1년 http://sillok.history.go.kr/id/kya_10207001_001 조선왕조실록 철종실록 3권, 철종 2년 7월 1일 을유 1번째기사 1851년 청 함풍(咸豊) 1년 일식하다 sillok.history.go.kr 일식하다 일식(日蝕)하였다. 【태백산사고본】 2책 3권 13장 A면【국편영인본】 48책 566면 【분류】 과학(科學) 음양력변환계산 https://astro.kasi.re.kr/life/pageView/8 음양력변환계산 | 생활천문관 | 천문우주지식정보 양력 날짜를 입력하여 대응하는 음력 날짜 확인 ※ 입력범위 : -59년 02월 13일 ~ 205..
헌종 13년 경복궁에서는 일식을 볼 수 없었다 헌종 13년 1847년 음력 9월 1일 일식(日蝕)이 있었다 헌종실록 14권, 헌종 13년 9월 1일 정축 1번째기사 1847년 청 도광(道光) 27년 http://sillok.history.go.kr/id/kxa_11309001_001 조선왕조실록 헌종실록 14권, 헌종 13년 9월 1일 정축 1번째기사 1847년 청 도광(道光) 27년 일식이 있다 sillok.history.go.kr 일식이 있다 일식(日蝕)이 있었다. 【태백산사고본】 8책 14권 10장 B면【국편영인본】 48책 524면 【분류】 과학(科學) 음양력변환계산 https://astro.kasi.re.kr/life/pageView/8 음양력변환계산 | 생활천문관 | 천문우주지식정보 양력 날짜를 입력하여 대응하는 음력 날짜 확인 ※ 입력범위..
헌종 2년 경복궁에서는 일식을 볼 수 없었다 헌종 2년 1836년 음력 4월 1일 일식(日蝕)이 있었다 헌종실록 3권, 헌종 2년 4월 1일 계축 1번째기사 1836년 청 도광(道光) 16년 http://sillok.history.go.kr/id/kxa_10204001_001 조선왕조실록 헌종실록 3권, 헌종 2년 4월 1일 계축 1번째기사 1836년 청 도광(道光) 16년 일식이 있다 sillok.history.go.kr 일식이 있다 일식(日蝕)이 있었다. 【태백산사고본】 1책 3권 4장 A면【국편영인본】 48책 443면 【분류】 과학(科學) 음양력변환계산 https://astro.kasi.re.kr/life/pageView/8 음양력변환계산 | 생활천문관 | 천문우주지식정보 양력 날짜를 입력하여 대응하는 음력 날짜 확인 ※ 입력범위 : -59년..
효종 3년 경복궁에서는 일식을 볼 수 없었다 효종 3년 1652년 음력 3월 1일 일식이 있었다 효종실록 8권, 효종 3년 3월 1일 임신 1번째기사 1652년 청 순치(順治) 9년 http://sillok.history.go.kr/id/kqa_10303001_001 조선왕조실록 효종실록 8권, 효종 3년 3월 1일 임신 1번째기사 1652년 청 순치(順治) 9년 일식이 있다 sillok.history.go.kr 일식이 있다 일식이 있었다. 【태백산사고본】 8책 8권 26장 A면【국편영인본】 35책 535면 【분류】 과학-천기(天氣) 음양력변환계산 https://astro.kasi.re.kr/life/pageView/8 효종 3년 1652년 음력 3월 1일=양력 1652년 4월 8일 나사(NASA) 일식 월식 사이트 NASA Eclipse Web ..
인조 24년 경복궁에서는 개기일식을 볼 수 없었다 인조 24년 1646년 12월 1일 개기 일식이 일어나다 인조실록 47권, 인조 24년 12월 1일 계유 1번째기사 1646년 청 순치(順治) 3년 http://sillok.history.go.kr/id/kpa_12412001_001 조선왕조실록 인조실록 47권, 인조 24년 12월 1일 계유 1번째기사 1646년 청 순치(順治) 3년 개기 일식이 일어나다 sillok.history.go.kr 개기 일식이 일어나다 개기 일식이 있었다. 【태백산사고본】 47책 47권 73장 A면【국편영인본】 35책 291면 【분류】과학-천기(天氣) 음양력변환계산 https://astro.kasi.re.kr/life/pageView/8 음양력변환계산 | 생활천문관 | 천문우주지식정보 양력 날짜를 입력하여 대응하는 음력 날짜..
중종 9년 서울에서는 해가 거의 다 가려지지 않았다 금년에는 더욱 심하여 일식(日蝕)으로 해가 거의 다 가려졌고 중종실록 20권, 중종 9년 9월 24일 계미 3번째기사 1514년 명 정덕(正德) 9년 http://sillok.history.go.kr/id/kka_10909024_003 조선왕조실록 중종실록 20권, 중종 9년 9월 24일 계미 3번째기사 1514년 명 정덕(正德) 9년 호령·형벌 등에 관한 부제학 박소영 등의 상소문. 이에 대한 임금의 전교 sillok.history.go.kr 호령·형벌 등에 관한 부제학 박소영 등의 상소문. 이에 대한 임금의 전교 부제학 박소영 등이 상소(上疏)하였는데, 대략 이러하였다. "보건대, 전하께서 즉위(卽位)하신 이래로 천재(天災)·시변(時變)이 없는 해가 없었으며, 금년에는 더욱 심하여 일식(日蝕)으로 해..
중종 16년 서울에는 개기 일식이 없었다 어제 개기 일식(皆旣日蝕)이 있었으니 이는 중대한 천변입니다 중종실록 41권, 중종 16년 3월 2일 갑인 1번째기사 1521년 명 정덕(正德) 16년 http://sillok.history.go.kr/id/kka_11603002_001 조선왕조실록 중종실록 41권, 중종 16년 3월 2일 갑인 1번째기사 1521년 명 정덕(正德) 16년 헌부와 홍문관이 일식의 변을 이유로 친열을 정지하기를 청하니 윤허하다 sillok.history.go.kr 헌부와 홍문관이 일식의 변을 이유로 친열을 정지하기를 청하니 윤허하다 헌부가 아뢰기를, "일식은 중대한 천변인 것으로 의당 공구 수성해야 합니다. 그런데, 일식이 있은 지 하루만에 친열(親閱)하시겠다고 발표하셨습니다. 이것이 유관(遊觀)은 아닙니다만 천계(天戒)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