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 간 우리 옛노래가 한일 고대사를 푸는 열쇠가 되었다
51편 결정적 증거가 터졌다. 한국과 일본 고대사의 수수께끼가 풀린다.
https://www.youtube.com/watch?v=ktQkjqsxdfs
한글날 특집.
김영회의 향가 만엽집 강의.
수로왕이 만든 고대표기법이
한일 고대사의 비밀을 풀어줄 결정적 증거였다.
민족사의 두 성군
표기법의 대진전
수로왕은
국문학에 있어 중요한 업적
수로왕은 세종대왕과 함께
높이 평가 받아야 할 분

수로왕의 업적
고조선 5대 표기법을 100% 승계
소리글자의 창안
한자 발음을 이용한 문장 표기법 창안
거부의 몸짓
고조선 뜻이 없는 말은 표기하지 않는다
고조선의 표기법 거부
--->한자의 발음을 이용해 뜻이 없는 말을 표기한다
소리 글자인 조사나 어미의 표기
민족 최초의 소리글자
ㅇ 수로왕이 만든 소리글자
--->야(也)
ㅇ 우리 민족 최초의 소리글자
한글로 가는 첫걸음
구지봉에서 시작된
한글 창제로 가는 첫걸음
민족 언어사에 있어
길이 기념되고
기억되어야 할 글자
구지가, 표기법으로 읽기
龜何龜何 首其現也
若不現也 燔灼而喫也
갈라진게 무엇인가, 갈라진게 무엇인가
임금을 나타내야
만약에 안나타내면야
제사고기 불에 태워 연기만 마시게 하리야
뜻발의 법칙
앞은 한자의 뜻
뒤는 한자의 발음
現也
=나타나다 야+ 둥글넙적한 그릇 야
=나타나다(뜻)+야(발음)
=나타나야
한자의 발음이란 어느 나라 발음인가
--->가야의 발음, 고대 한반도 발음
구지가와 뜻발의 법칙
現也
=나타나다 야+ 둥글넙적한 그릇 야
=나타나다(뜻)+야(발)
=나타나야
뜻발의 법칙으로 구지가 제작
조사나 어미를 표기
한자의 고대 한반도어 발음을 이용해
-조사나 어미를 표기
소리글자를 이용해
-우리말을 표기
고대 한반도어 발음
앞글자는 뜻이고 뒷글자는 한자의 발음
발음은 어느 나라 발음?
--->중국 발음이나 일본 발음이 아니다
--->가야의 한자 발음
--->고대 한반도어 발음
한국과 일본 고대사 판도를 바꿀 결정적 증거
수로왕이 쌓은 언어학의 금자탑
한자의 발음을 이용한 문장 표기법 창안
뜻발의 법칙이라는 문장 표기법 창안
수로왕의 재평가
수로왕의
민족사적, 국문학적 위치
세종대왕과 함께
민족 언어를 만들어낸 분
52편 결정적 증거. 일본에 간 우리 옛노래가 한일 고대사를 푸는 열쇠가 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aNncEKooBf4
저는 천우신조로
한반도 '고대 표기법'과 가락국 표기법 '뜻발의 법칙'을 찾아낼 기연을 얻었습니다.
이 때 얻은 열쇠로 천년간
봉인되었던 한일 고대사의 문을 열 수가 있었습니다.
고대 표기법 바다를 건넜다
고대 표기법 남진을 거듭하였다
만엽집이 고대 표기법으로 만들어져 있었다
판도라의 상자가 열리다
일본에 한반도의 표기법이 있었다
만엽집, 일본서기, 고사기 운문에 한반도 표기법
→씽크로율 100%
→100%는 뜻발의 법칙도 구사하고 있다는 뜻
향가의 작자는 누구인가, 추적1
향가문자는 뜻으로 기능한다(향가제작법)
-중국인, 한국인, 일본인은 한자를 동일한 뜻글자로 사용
중국인, 한국인, 일본인이 향가를 제작하였을 것이다
향가의 작자는 누구인가, 추적2
향가의 노랫말은 한자가 한국어 어순으로 배열 되어있다
(향가제작법)
한국어, 일본어 어순
=주어+목적어+동사
=나는 너를 사랑한다
중국어 어순
=주어+동사+목적어
=나는 사랑한다 너를
→한국인과 일본인이 향가를 지었을 것이다
→중국인 배제
향가의 작자는 누구인가, 추적3
뜻발의 법칙
향가 구절 중
앞글자는 뜻, 뒷글자는 한국어 발음
→한국인이 향가를 만들었다
→일본어 발음이 아니다. 일본인 배제의 법칙
향가의 작자는 누구인가, 결론
증거1 -향가는 고대 한반도어 발음으로 표기
증거2 한반도 고대 표기법을 알고 있었다
증거3 네이티브 수준의 한반도어 문장 구사
증거4 -한반도어 언어정체성을 가지고 있었다
만엽집 85번가 속 표기법
仁德왕후
인덕천황 황후가
399년 인덕천황 장례시 만든 작품
인덕천황은 399년 10월 7일 매장

원문과 일본인들의 풀이
85번가 원문
君 之 行 氣 長 成奴
山多都祢 迎加
將 行 待尒可
將 待
당신 떠난지 많은 날이 지났네
산길 따라서 마중하러 갈까요
기다리고 있을까

고대 한반도 표기법으로 읽어보자
임의 장례 행렬이 길어지게 되었네
산에서 그대를 맞이할까
저승사자가 행렬을 기다리이까?
저승사자가 기다려야 하네
뜻발의 법칙, 기다리이까
세째 구절 끝 세글자
대이가(待尒可)
待 기다리다 대
尒 아름다운 모양 이
可 군주의 칭호 가
기다리다+이+가=기다리이까
한반도어 구사자가 표기하였다
구지가(42년)가 이후 한반도 표기법
350여년간의 잠행
399년 일본 오사카에서
인덕천황 황후가 만든
만엽집 85번가에서 나타났다
기다리이까?
→
한국인이 아니라면
만들어 낼 수도, 알아들을 수도 없는 말
작자 인덕천황 황후는 능란한 한반도어 구사자
충격적 사실
인덕천황비가 뜻발의 법칙 구사
가락국 왕실 구성원이 가락국 고대 표기법을 가지고
열도로 도거
→황실의 구성원이 되었을 것
가락국 고대 표기법이 열도내 황실에서 승계?
액전왕
누카타 오오키미(額田王)
백제 멸망기(660) 활동

만엽집 17번가 끝구절
운애은 장 배지야
雲乃隱 障 倍之也
구름에는 바닷가의 나쁜 기운이 곱(이)지야
雲 구름 운/ 애/ 은/障 바닷가의 나쁜 기운 장/倍 곱 배/지/야
뜻발의 법칙
倍之也 -곱(倍, 뜻) (이) 지(之) 야(也)
인생이란 아침이슬과 같아야
시본인마려(枾本人麻呂) 217번가 작품 끝 구절
朝露乃 如也 夕霧乃 如也
아침이슬 애 같아야 저녁안개 애 같아야
→如也=如 같다 여+야(也)=같아야(뜻발의 법칙)
'애'는 고대의 비교격 조사=현대어의 '과'
나말싸미 중국'에' 달라 서로 사맛디 아니할쌔(훈민정음 서문)
만엽집 일본서기 고사기 속 운문의 성격
일본의 3대 국서(國書) 속 운문들
고대 한반도 표기법에 따라 만들어져 있다
특히 뜻발의 법직에 따라 만들어졌다는 사실
→한반도어로 표기되고, 읽히고 있었다는
결정적 증거
→스모킹건
일시 존재했던 고대의 표기법
한반도인들이 표기법을 가지고 가
만엽집, 고사기, 일본서기 속 운문들 제작
고사기 712년 → 고대 한반도 표기법
일본서기 720년 → 고대표기법
만엽집 399년~759년 → 고대표기법
한반도어 소멸
통일신라와 일본과의 교류 사실상 단절
한반도어 사용자들도 사라져 갔다
특정 시기, 특정 신분자들이 일본으로 가
특정공간에서
고대 한반도어 표기법을 사용
고대 한반도어 사용이라는
한민족과 동일한 언어 정체성을 가졌던 이들이
일본땅에 남겨놓은 발자취
-만엽집, 고사기, 일본서기 속 운문
스모킹 건
한반도어 언어 정체성을 가진 이들이
만엽집과 고사기와 일본서기를
한반도어로 표기하고 읽었다
한반도 고대 표기법→스모킹건
일본 고대의 역사와 문학이
한국어로 표기되어 있다는 사실은
무엇을 의미할까
그리고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김영회 선생의 향가 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민족의 일본 열도 개척사. 한 손에 칼, 한 손에 향가 (0) | 2025.03.02 |
---|---|
만엽집은 우리말로 된 향가집 (0) | 2025.03.01 |
일본인들은 일본서기를 풀 수 없다 (0) | 2025.03.01 |
민족의 고대 표기법이 밝히는 진실. 만엽집, 고사기, 일본서기 속 노래들은 우리의 노래였다 (1) | 2025.02.24 |
향가와 만엽집은 어떻게 해독되었나 (1) | 2025.02.24 |